유해보조금

17 유해보조금

2025년까지 생물다양성에 유해한 보조금을 식별하고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며,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긍정적인 인센티브를 증가시킨다.

세부실천목표

지표

  • 핵심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긍정적인 인센티브 준비중
  • 지표명
    •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긍정적인 인센티브
      (Positive incentives in place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글로벌 정의
    • 긍정적인 인센티브, 인센티브 기반 메커니즘 또는 경제적 도구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보다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기반을 둔 일련의 정책 도구로, OECD-PINE 데이터베이스에 보고하는 긍정적 인센티브[수]
      (①생물다양성 관련 세금, ②수수료 및 요금, ③거래 허가제도. ④긍정적 보조금)
    글로벌 평가 방법
      OECD-PINE 데이터베이스에 보고하는 4가지 유형별 긍정적 인센티브 수
      1) 생물다양성 관련 세금
      2) 생물다양성 관련 수수료 및 요금
      3) 생물다양성 관련 거래 허가제도(어업에 대한 개별 양도 가능 할당량(ITQs), 개발권, 수렵권, 사냥 허가증 경매, 배출권 거래 프로그램 등)*
      4)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긍적적 보조금
    글로벌 산식
      정책 도입 시기, 적용 범위, 관련 산업에 따른 수익과 비용을 산출
    글로벌 지표 가용 현황
    시계열 자료 갱신 주기 지표개발 기관
    1980년-현재 1년 OECD
    글로벌 지표 링크
    담당 부처
      환경부, 해양수산부, 통계청
    참고누리집
      -
  • 핵심 삭감, 단계적 폐지 및 개선된 생물다양성 유해 인센티브 준비중
  • 지표명
    • 삭감, 단계적 폐지 및 개선된 유해 인센티브
      (Value of subsidies and other incentives harmful to biodiversity, that have been eliminated, phased out or reformed)
    글로벌 정의
    • -
    글로벌 평가 방법
      -
    글로벌 산식
      -
    글로벌 지표 가용 현황
    시계열 자료 갱신 주기 지표개발 기관
    보류중 보류중 보류중
    글로벌 지표 링크
    • 메타데이터 | -
    • 데이터 | -
    담당 부처
      환경부, 산업부, 농림식품부, 해양수산부, 산림청
    참고누리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