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네비 이미지

전국자연환경조사

개요

제1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1986∼1990년에, 제2차 조사는 1997∼2005년에 실시하였으며, 2006년부터는 제3차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조사내용

제1차 조사에서는 식물의 경우 행정구역별로 식물상,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를 조사하였습니다. 동물의 경우에는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곤충류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지역별 동물상을 조사하였으며, 일부 분류군에 대하여는 지역별 분포상황을 포함하였습니다. 호소의 경우 209개 호소에 대한 물리적 개황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하천의 경우 담수어, 수서곤충, 저서생물 및 수중생물 등의 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97~’05)는 제1차 조사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추진되었습니다. 즉, 제1차 조사는 행정구역 중심으로 조사권역을 구분하였으나, 제2차 조사에서는 육지부는 산을 중심으로 6개 대권역, 206개 소권역, 해안선은 6개 대권역, 145개 소권역(소지역)으로 각각 구분하고, 각 소권역은 자연환경의 절대적 가치 및 상대적 가치에 따라 우선조사권역 및 일반조사권역으로 차등 구분하여 실시하였습니다.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06~’12)는 전국을 총 824개 도엽으로 구분하여 도엽별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2차 조사 시의 권역별 조사는 권역의 경계가 주로 산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하천의 생물상을 파악하는데 불합리한 점이 많았습니다. 또한 권역별 조사는 권역의 면적이 통일되지 않아 조사자에 따른 조사범위 및 조사강도(해상도)가 각각 다르고, 전문가 활용의 지역적 안배를 위해 매년 무작위적으로 권역을 선정해야 하는 난점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제3차 조사에서는 총 824개 도엽을 각각 9개 격자로 나누어 실시함으로써 제2차 조사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다만 식생분야의 경우 권역별 경계선이 명확하고 기존의 현존식생도 및 생태·자연도 갱신의 근간이 되므로 제2차 조사와의 연계성을 위해 계속 권역별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1·2·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비교

구 분 제1차 전국조사 제2차 전국조사 제3차 전국조사
조사기간 1986∼1990년(5년간) 1997∼2005년(9년간) 2006∼2012년(7년간)
조사예산 20억원 118억원 369억원
조사방법 행정구역(郡)별 조사 권역별 조사 도엽별 조사
조사인원 240명/년(중앙중심) 400명/년(지역우선) 450명/년(격자중심)
표본 표본 미확보 표본 확보 표본 확보
결과활용 녹지자연도 작성 자연환경종합 GIS-DB구축
생태·자연도 작성
자연환경종합 GIS-DB구축
생태·자연도 갱신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연차별 조사계획

구 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조사도엽수 824도엽 86 116 125 125 125 125 122

 

 

우수생태계 정밀조사

개요

우수생태계 정밀조사의 일환으로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하구역생태계정밀조사,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 특정도서정밀조사, 전국자연경관조사, 습지보호지역정밀조사 등 다양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UNEP/GEF 습지사업단에서는 전국내륙습지자연환경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수생태계 정밀조사 현황>
우수생태계 정밀조사 사업기간 조사지역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03~’17 총 43개 해안사구
생태경관우수지역발굴조사 ‘08~’17 우수생태계 54개소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 ‘06~’14 총 513개 무인도서
특정도서정밀조사 ‘06~’14 총 129개 특정도서
생태경관보전지역정밀조사 ‘12~’16 총 9개 지역
DMZ 일원 생태계조사 ‘12~’14 3개 권역 8개군
백두대간생태계정밀조사 ‘12~’15 전 지역

조사 내용

 

 

독도 생태계 정밀조사

개요

독도는 1997년 제정된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00년 9월 5일 지정된 특정도서 제1호로, 동법 제3조에는 “이 법은 독도 등 대한민국의 주권이 미치는 특정도서의 자연생태계 등의 보호에 관한 사항을 적용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조사 내용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독도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독도 자연생태계 정밀조사, 생태계 모니터링, 외부유입종 조사, 바다사자 복원사업 등 생태계보전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5년 4월에서 2006년 3월까지 독도 4계절 자연생태계 정밀조사결과 총107종의 조류, 49종의 식물, 93종의 곤충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멸종위기종 Ⅰ급인 매, Ⅱ급인 벌매, 올빼미, 솔개, 뿔쇠오리, 물수리, 고니, 흑두루미와, 괭이갈매기 10,000여 개체, 바다제비 600여 개체가 서식하고 있고, 식물은 울릉도 특산식물인 섬장대를 포함, 도깨비 쇠고비 등 49종이 관찰되었으나, 이중 19종은 독도 자생종이 아닌 외부유입종 또는 식재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후, 2007년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에서는 바위털 갯지렁이 등 해양무척추동물 26종의 서식이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환경부는 새로운 서식종이 계속 관찰됨에 따라 타 특정도서와는 달리 2014년까지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을 연 3~4회로 확대·실시하고(특정도서는 연 1회 모니터링), 매 5년마다 4계절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생태계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동시에 외부유입종이 독도 고유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조사·관찰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06년 10월부터 독도에서 1970년대 이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바다사자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2006년 11월에는 독도의 아름다운 자연 생태계 현황과 독도 생태계 보전을 위한 시책들을 영문 화보집 등으로 만들어 국내·외 기관(중앙행정기관, 재외공관, 해외도서관, 외국대사관 등)에 배포하여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킨 바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정책추진을 통하여 일반국민의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는 우리의 영토 독도의 우수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장기생태연구사업

개요

서울의 겨울 평균온도가 1960년대 -2.3도, 1970년대 -1.2도, 1980년대 -1.5도, 1990년대 0.2도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동·남해안의 연안지역에서 원인불명의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등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교란과 생물다양성의 변화가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따른 자연 생태계의 변화현상을 중장기적으로 관찰하여 생물종 감소 및 생태계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생태계 보호·복원 및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한반도의 장기생태변화 조사·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03년 7월에 환경부 주관으로 "국가생태기초연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004년 12월 육지·강·습지·연안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국가장기생태연구 1단계 사업이 착수되어 2007년 3월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3단계 사업이 2013년까지 추진 중이며, 2014년부터 10년간 2차 사업이 추진될 계획이다. www. KNLTER.net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조사 내용

<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 기본계획의 주요내용>
분야 대상 지역/생물종/과제
육지생태 변화연구 (16개) 산림 12개 - 자연산림 (6개)
- 도시산림:남산·팔공산(2개)
- 공단산림:울산·여천 (2개)
- 활엽수림:광릉 (1개)
- 침엽수림:울진 소광리 (1개)
농경지 2개 - 중부:수원(1개), 남부:호남(1개)
섬 2개 - 한라산 (1개)
- 울릉도 (1개)
담수생태 변화연구 (9개) 강 3개 - 낙동강, 한강, 섬진강
호소 3개 - 대청호, 팔당호, 제주도 호소
습지 3개 - 우포, 비무장지대습지, 제주도 습지(물영아리)
연안생태 변화연구 (6개) 해안 6개 - 서해안 2개, 남해안, 동해안, 제주도, 울릉도
동물생태 자료확보 (5개) 조류 4종 - 까치, 참새, 멧비둘기, 까마귀 등 유해조류
포유류 3종 - 멧돼지, 노루, 고라니, 유해짐승
곤충 3종 - 상제나비, 장수하늘소, 두점박이사슴벌레
어류 2종 - 블루길, 배스 등 외래어종
양서·파충류 2종 - 붉은귀거붉, 황소개구리
장기생태 기반구축 (4개) 중앙/지역 센터 4개 운영 - 통합, 육상, 습지/연안, 동물생태센터
국제회의 개최 - 회의장 임대, 전문가 초청경비 등
기초생태DB구축 - 기초생태 DB 프로그램 개발비레
한국생태자료집 제작 - 한국의 생태조사·연구 총괄자료 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