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 Fei, Ye and Huang, 1991

  •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척삭동물문) > Amphibia(양서강) > Anura(무미목) > Ranidae(개구리과) > Rana(개구리속)
  • 분류군: 양서류
  • 국가지정: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포획금지 야생동물, 인공증식을 위한 포획허가 대상 ...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2,933건 / 표본 52건 / 유전자원 250건 / 유전정보 24건 / 그외 0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전국 내륙 산간 계곡에 서식하는 한국산 산개구리류의 일종이다. 뚜렷한 흑색반문이 눈 뒤쪽까지는 있고 눈 앞쪽으로는 없어서 한국산개구리와는 잘 구별되나 눈 뒤쪽의 흑색반문 특징도 같은 북방산개구리와는 외형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다. 그러나 복부와 턱밑의 바탕색이 미색이며 흑색의 작은 반문들이 흩어져 있어 우윳빛의 흰 바탕색이 나는 북방산개구리와는 구별된다. 이 종은 번식기에 암수 모두 턱밑과 복부 주위에 초록색 반문들이 나타나며 수컷은 턱밑에 울음주머니가 없어 북방산개구리와 잘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국 내륙의 산간 계곡에 널리 서식한다. 중국에도 분포한다.[1]

형태

크기는 60~70mm이다. 산개구리에 비해 흑갈색으로 다소 어두운 편이다. 수컷의 배 부분은 노란색을 띠며 잔 점무늬가 많다. 크기는 산개구리에 비해 몸길이가 평균 1cm 정도 작다.[2] 한국산 산개구리류의 일종으로 뚜렷한 흑색 반문이 눈 뒤쪽에만 있고 눈 앞쪽에는 없어서 한국산개구리(R. coreana)와 잘 구별되나, 눈 뒤쪽의 흑색 반문 특징이 북방산개구리(R. dybowskii)에도 나타나 외형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다. 그러나 복부와 턱 밑의 바탕색이 미색이며 흑색의 작은 반문들이 산재해 있어 바탕색이 우윳빛인 북방산개구리와 구별된다. 본 종은 번식기에 암수 모두 턱 밑과 복부 주위에 초록색 반문들이 나타나며 수컷은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없어 북방산개구리와 구별된다. 암수 간에 체구 차이가 거의 없으며 수컷은 교배를 위해 앞다리가 잘 발달되었고 번식기가 되면 앞다리의 첫 번째 손가락에 肉塊가 나타난다. 유생 양 눈은 등쪽에 있으며, 분수공은 몸통 측면에 있고, 꼬리에는 얼룩덜룩한 무늬가 없어 북방산개구리 유생과 구분된다. 유생 치식은 4(2~4)/4[1]로 북방산개구리 유생과 같다.[3]

분포

한국에서는 전국 내륙의 산간 계곡에 널리 서식한다.[3] 중국(후안랜)에 서식한다.[3]

생태

흐르는 물속에 산란하는 대표적인 개구리로, 계곡의 흐르는 물속에 산란 후 산으로 올라가고 산란 시기와 월동 시기에만 산에서 내려온다. 산간 계곡의 하천 바닥의 돌 밑에서 월동하는 점은 산개구리와 같으나, 번식 시기인 3월경이 되면 농지 주변이나 하천 주변의 물웅덩이로 이동하지 않고, 계류의 물속에 잠겨 있는 바위 또는 가장자리에 알 덩어리를 부착시켜 산란하며 산개구리에 비해 알이 더 탱탱하고 배의 크기가 크다.
‘꾸욱―꾸욱―쿠―쿠―쿡’하고 울음소리를 단절적으로 낸다.[2]

해설

1999년에 학계에 보고되었다. 백두대간 상의 산간지대 계곡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최근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서도 넓게 서식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산개구리와 외형적으로 유사하여 구별이 쉽지 않다.[2] 전국 산간 계곡에서 주로 발견되며 최근까지 보양식으로 남획되어 감소추세에 있다.
전국에 넓게 분포해 개체수가 비교적 많은 편이나 보양식으로 남획되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최근 Yang 등(2000)이 형태, 생태, 유전자 분석을 통해 유사종인 북방산개구리와는 독립된 종으로 보고했다.
위협 요인은 보양식으로 남획되는 것이다. 현재 멸종위기야생동식물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나, 포획금지종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개체군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앞으로도 개체군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멸종위기 평가 결과: LC
보양식으로 남획되었으나, 현재에는 남획되는 정도가 현저히 감소해 LC로 평가했다. IUCN에서도 LC로 평가했다.[3]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2]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개구리소리(2010)
[3]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2011)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2,927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42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10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57건 연계 조회
  • 국립중앙과학관 총 193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산학연 총 24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2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2,933건
  • 표본52건
  • 생체21건
  • DNA17건
  • 종자0건
  • 배양체0건
  • 천연물0건
  • 파생물0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0건
  • 핵산서열정보14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1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