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부들Typha orientalis C. Presl.

큐알코드샘플이미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인식해주세요.

QR코드 다운로드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 Liliopsida(백합강) > Commelinidae(닭의장풀아강) > Typhales(부들목) > Typhaceae(부들과) > Typha(부들속)
  • 분류군: 관속식물
  • 국가지정: 없음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117건 / 표본 496건 / 유전자원 93건 / 유전정보 32건 / 그외 7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부들목 부들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연못가, 낮은 지대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높이 1~1.5m이다. 잎은 선형이고 털은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7월에 피는데 수꽃이삭은 윗부분에 달리며 암꽃이삭은 바로 밑에 달린다. 꽃이삭에 달린 꽃싸개잎은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화피는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 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화분이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작은꽃싸개잎이 없으며 씨방에 대가 있다. 암술머리는 주걱 비슷한 피침형으로 씨방 밑에서 돋은 털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이삭은 길이 7∼10cm, 긴 타원형, 11월에 적갈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유라시아 온대 및 아열대, 호주 등에 분포한다. 암꽃차례와 수꽃차례는 긴 곤봉 모양으로 서로 붙어 있고, 위쪽의 수꽃차례가 아래쪽의 암꽃차례보다 작은 점에서 암·수꽃차례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대개 수꽃차례가 암꽃차례보다 큰 애기부들, 꼬마부들과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잎으로 세공품을 만들고, 꽃줄기는 장식용으로 쓰며, 꽃가루는 약용한다.[1]

형태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높이 1~1.5m이다. 잎은 선형이고 털은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수꽃이삭은 윗부분에 달리며 암꽃이삭은 바로 밑에 달린다. 꽃이삭에 달린 꽃싸개잎은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화피는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 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화분이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작은꽃싸개잎이 없으며 씨방에 대가 있다. 암술머리는 주걱 비슷한 피침형으로 씨방 밑에서 돋은 털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이삭은 길이 7∼10cm, 긴 타원형, 적갈색으로 익는다.[2]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높이 100-200cm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50-150cm, 폭 0.5-1.0cm이다. 꽃은 6-8월에 육수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수꽃차례가 암꽃차례 위쪽에 달리며, 두 꽃차례는 붙어 있다. 열매이삭은 타원형, 길이 7-10cm이다.[3]

분포

전국[4] 유라시아 온대 및 아열대, 오스트레일리아[3]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월에 피고, 열매는 11월에 익는다.[4]

이용및활용

관상용으로 심으며, 잎으로 세공품을 만들고, 꽃줄기는 장식용으로 쓰며, 꽃가루는 약용한다.[4]

해설

암꽃차례와 수꽃차례는 긴 곤봉 모양으로 서로 붙어 있고, 위쪽의 수꽃차례가 아래쪽의 암꽃차례보다 작은 점에서 암·수꽃차례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대개 수꽃차례가 암꽃차례보다 큰 애기부들, 꼬마부들과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잎으로 세공품을 만들고, 꽃줄기는 장식용으로 쓰며, 꽃가루는 약용한다.[2] 약용, 관상용, 세공용, 꽃꽂이용, 섬유용으로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3]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
[2]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2018)
[3]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6)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110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 제주특별자치도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275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157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8건 연계 조회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4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식물표본관 총 2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59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6건 연계 조회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4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약초원 총 2건 연계 조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총 7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1건 연계 조회
  • 산학연 총 27건 연계 조회
  • 연구소재은행 총 4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3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117건
  • 표본496건
  • 생체22건
  • DNA4건
  • 종자21건
  • 배양체0건
  • 천연물3건
  • 파생물5건
  • 세포주2건
  • 개체0건
  • 체액4건
  • 핵산서열정보31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1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3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1 부들
2 부들-과
3 애기-부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