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

큐알코드샘플이미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인식해주세요.

QR코드 다운로드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 Liliopsida(백합강) > Arecidae(종려아강) > Arales(천남성목) > Araceae(천남성과) > Arisaema(천남성속)
  • 분류군: 관속식물
  • 국가지정: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57건 / 표본 233건 / 유전자원 66건 / 유전정보 37건 / 그외 3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산지 풀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0cm 정도로 자란다. 덩이뿌리는 편편한 구형이다. 잎은 1개이며 새발 모양으로 7~11장의 소엽이 좌우 양쪽으로 갈라지는데 가운데 1장이 특히 작다. 꽃은 5~6월에 피며 암수딴그루로 육수화서이다. 불염포는 통 모양으로 끝이 차츰 뾰족해지며 화서 연장부는 가늘고 길며 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9월에 붉게 익는다. 이 종은 무늬천남성에 비해 화서가 잎보다 위에 달리고 끝 가운데 잎이 작으며 포는 녹색이고 부속체의 끝이 위를 향하므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 사할린, 대만 등에도 분포한다.[1]

형태

높이 50cm이고 덩이뿌리는 편구형이다. 잎은 1개이며 새 발 모양으로 7~11장으로 갈라지고 가운데 1장이 특히 작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피며 육수화서이다. 불염포는 통 모양으로 끝이 차츰 뾰족해지며 화서연장부는 가늘고 길며 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붉다.[2]

분포

전국[3] 일본, 사할린, 대만 등[3]

생태

풀밭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피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3]

이용및활용

구경은 약용한다.[4]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
[2]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2022년)
[3]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2010)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52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1건 연계 조회
  • 제주특별자치도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136건 연계 조회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24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18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6건 연계 조회
  •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총 5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25건 연계 조회
  • 천리포 수목원 총 7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3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약초원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중앙과학관 총 21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산학연 총 35건 연계 조회
  • 연구소재은행 총 2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4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57건
  • 표본232건
  • 생체9건
  • DNA0건
  • 종자5건
  • 배양체0건
  • 천연물0건
  • 파생물1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13건
  • 핵산서열정보25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12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