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각시서덜취Saussurea macrolepis (Nakai) Kitam.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깊은 산 풀밭이나 숲 가장자리 그늘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30~90cm에 이르며 줄기 아랫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뿌리줄기는 목질이다. 뿌리잎은 5~7cm의 잎자루가 있고, 꽃 피기 전에 시든다. 중앙의 줄기잎은 길이 7~16cm, 폭 6.5~10cm, 달걀 모양의 삼각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에 가깝거나 심장 모양이다.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불규칙한 이빨 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이 하나 내지 여러 개가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이 1.5cm이다. 관모양꽃은 길이 10~12mm로 자주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우산털은 갈색이 돈다. 전라남도 백운산, 경상남도 지리산, 강원도 가리왕산, 금강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1]형태
식물체는 다년생으로, 키 0.2-1m이다.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단단하다. 줄기는 직립하고, 하부가 적자색을 띠며, 상부에서 분지하고, 표면에 종선이 있으며, 무모이다. 근생엽은 개화 시 시들고,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하부 경생엽의 엽병은 길이 4-8cm로,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엽신은 난상 삼각형이고, 8-14.5(-16)×6-8(-10)cm, 엽선은 긴 점첨두, 엽저는 심장저 또는 평저이며, 엽연에는 끝이 뾰족한 거치가 불규칙하게 있고, 상면은 녹색, 하면은 연녹색이며, 양면 모두에 짧고 뻣뻣한 털이 산생한다. 중앙부 경생엽은 하부 경생엽과 유사하나 작다. 상부 경생엽의 엽병은 짧으며, 엽신은 피침형, 4-5.3×1.7-2cm, 엽선은 긴 점첨두, 엽저는 둔저 내지 설저이다. 두화는 1개-소수이고, 산방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지름 1.4-1.6cm이다. 총포는 원통형으로, 0.8-1.5×0.6-1cm이고, 총포편은 6 또는 7열로 배열되며, 표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선단 부속체는 없다. 외총포편은 좁은 피침형으로, 예두이며, 내총포편은 좁은 피침형 내지 선형으로, 둔두이다. 화관은 자색을 띠고, 길이 1-1.2cm이다. 수과는 연갈색이며, 원주형이고, 길이 약 6mm이다. 관모의 바깥쪽 강모는 백색이며, 길이 1-1.5mm, 조모상이고, 안쪽 강모는 탁한 백색이며, 길이 0.8-1cm이다.[2] 높이 30~90cm이다. 뿌리잎 밑부분에는 잎자루가 있다. 줄기잎은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고 치아상의 톱니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다. 꽃은 자주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관모는 갈색이 돈다.[3] 깊은 산 임상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이 30~90cm에 달하며 줄기 아랫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근경은 목질이다. 근생엽은 5~7cm의 엽병이 있고 꽃 피기 전에 시든다. 중앙의 경생엽은 길이 7~16cm, 너비 6.5~10cm의 달걀 모양 삼각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밑이 재저, 아심장저 또는 심장저이다.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불규칙한 치아상 톱니가 있다. 두화는 1~수 개가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 1.5cm이다. 총포는 길이 10~12mm, 지름 6~9mm의 통형이다. 총포편은 6~7줄로 포개져 있고 안쪽으로 갈수록 길어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외편은 피침형 또는 달걀 모양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내편은 선형으로 끝이 둔하다. 통상화는 길이 10~12mm로 자주색이고 관모는 두 줄로 길이 7mm이고 갈색이다.[4]분포
경기, 경남, 전남[2]생태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9월에 핀다.[3]이용및활용
어린잎을 식용한다.[5]해설
한국 특산. 고유종[2]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2]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생물지발간연구(2017)
[3]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2010)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2009)
[5]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