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큐알코드샘플이미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인식해주세요.

QR코드 다운로드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목련강) > Asteridae(국화아강) > Asterales(국화목) > Asteraceae(국화과) > Inula(금불초속)
  • 분류군: 관속식물
  • 국가지정: 없음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84건 / 표본 449건 / 유전자원 54건 / 유전정보 2건 / 그외 14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사면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다. 꽃싸개잎은 여러 장, 길이 1~4cm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5~2.0cm,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조각이 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가는금불초에 비해 두상꽃차례의 지름이 0.5~2cm 정도 더 큰 점에서 구분할 수 있고, 가지를 더 많이 치고 잎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인 점에서 가지를 덜 치고 잎이 긴 피침형인 가지금불초와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군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꽃은 약용한다.[1]

형태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100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너비 1-3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10월에 줄기 끝에서 지름 3-4cm의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5-2.0cm, 조각은 5줄이다. 열매는 수과이다.[2]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다. 꽃싸개잎은 여러 장, 길이 1~4cm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5~2.0cm,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조각이 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있다.[3]

분포

전국[2] 일본, 중국 동북지방, 러시아 극동지방[2]

생태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10월에 핀다.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충분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3]

이용및활용

어린잎은 식용하며, 꽃은 약용한다.[3]

해설

관상 가치가 높은 식물이며, 식용 및 약용으로도 사용하는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2] 전국의 산과 들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본 분류군이 속한 금불초속은 분류학적으로 매우 어려운 집단으로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금불초속이 단계통분류군인지에 대해서도 확실한 증거가 없다.
금불초와 유사한 종들의 묶음인 Inula britannica complex에는 금불초 외에 가는금불초(Inula britannica L. var. lineariifolia (Turcz.) Regel)와 가지금불초(Innula britannica L. var. ramosa Kom.)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다. 금불초는 가는금불초에 비해 두상꽃차례의 지름이 0.5~2cm 정도 더 큰 점에서 구분할 수 있고, 가지를 더 많이 치고 잎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인 점에서 가지를 덜 치고 잎이 긴 피침형인 가지금불초와 구분된다. 그러나 한국에 분포하는 이들 세 분류군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Inula caspica, Inula linearifolia를 비롯하여 Inula britannica 아래에 다른 변종으로 처리되고 있는 분류군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한국속식물지에서는(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금불초를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로 처리하고 있는 반면 중국식물지에서는 Inula britannica와 독립된 종으로 인식하여 Inula japonica로 처리하고 있다(Flora of China).
본 분류군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꽃에서 추출한 용액은 비만 치료제나 혈청지질 감소제로 쓰일 가능성이 있음이 최근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알려져 있다(Shan et al. 2006).[3]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
[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3]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79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1건 연계 조회
  • 제주특별자치도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362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31건 연계 조회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25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15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식물표본관 총 5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45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약초원 총 2건 연계 조회
  • 기청산 식물원 총 2건 연계 조회
  • 신구대학교 식물원 총 2건 연계 조회
  • 한택식물원 총 1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1건 연계 조회
  • 영남대학교 생물다양성센터 총 1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2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84건
  • 표본448건
  • 생체10건
  • DNA4건
  • 종자6건
  • 배양체0건
  • 천연물0건
  • 파생물0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6건
  • 핵산서열정보2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4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1 가는-금불초
2 갯-금불초
3 긴-갯금불초
4 버들-금불초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