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까치고들빼기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Makino) Pak & Kawano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깊은 산의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한두해살이풀로 높이는 20~50cm이다. 줄기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깃꼴로 완전히 갈라진다. 갈래잎은 3~6쌍이며 서로 떨어진다. 잎자루는 중축과 더불어 날개가 없고 밑부분이 귀 모양이다. 잎자루는 원줄기를 감싸며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진다. 꽃은 9~10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꽃차례로 달려 황색으로 핀다. 모인꽃싸개는 좁은 통형이다. 외포편은 난형이고, 내포편은 5개로 긴 타원상 선형이다. 소화는 5개이고, 통부는 털이 없다. 열매는 수과로 방추형이고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우산털은 백색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만주에도 분포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1]형태
전체가 연하고, 털이 없다. 줄기는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5-5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얇고, 깃꼴로 완전히 갈라진다. 갈래는 난형, 길이 1-2cm이다. 잎줄거리에 날개가 없고, 잎 밑은 귓불처럼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1cm쯤이다. 모인꽃싸개는 좁은 통 모양, 길이 5.5-7.5mm, 꽃이 진 후에 밑부분이 볼록하게 된다. 안쪽의 모인꽃싸개 조각은 5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4mm쯤이다. 우산털은 흰색이다.[2]분포
전도[3] 극동 러시아, 일본, 중국[3]생태
개화기: 8-11월[3]이용및활용
어린순을 식용한다.[4]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2]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2022년)
[3]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생물지발간연구(2017)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