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개산초Zanthoxylum planispinum Siebold & Zucc.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해안 근처의 산지에 자라는 상록성 떨기나무로 높이는 4m에 이른다. 잔가지에는 털이 없으며 턱잎이 변한 편평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7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잎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은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3~12cm, 폭은 1.0~2.5cm이고 맨 위쪽 작은잎이 가장 크다.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 기부에 융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에 투명한 샘점과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와 엽축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8~9월에 익으며, 종자는 흑색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삼척,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에 나며, 중국, 일본, 타이완, 동남아시아, 인도, 부탄 등에 분포한다. 산초나무에 비해 잎이 상록성이며 잎자루와 엽축에 날개가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1]형태
관목으로, 상록성이고, 자웅이주이며, 키 4m에 달한다. 가지에는 피침이 있고, 피침은 쌍으로 배열되며, 납작하고, 얇다. 잎은 기수우상복엽 또는 3출복엽으로, 길이 6-20cm이며, 엽병과 엽축에는 날개가 넓게 발달하고, 간혹 양면에 피침이 있다. 소엽은 대생하며, 3-9장이고, 소엽병은 없거나 거의 없다. 소엽의 엽신은 타원형, 광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1-13.5×0.5-3.5cm, 아혁질이고, 엽선은 예두, 엽저는 유저 또는 설저이며, 엽연은 거의 전연 또는 미세한 거치연으로, 거치 사이에 투명한 선점이 있고, 양면 모두 대개 무모이며, 간혹 중륵에 납작한 선형의 피침이 있다. 화서는 액생하고, 총상화서 내지 원추화서이며, 길이 1-5cm이고, 표면에 미세한 털이 있다. 꽃은 단성이며, 소화경은 있다. 화피는 연황색으로, 1열로 배열되고, 화피편은 6-8장, 좁은 삼각형이다. 수꽃의 경우, 수술은 4-6개, 길이 1-2mm이다. 암꽃의 경우, 심피는 2 또는 3개이며, 기부에서 합생하고, 화주는 이생하며, 주두는 장유두상이다. 골돌은 적색이고, 구형이며, 지름 4-5mm이고, 표면에 선점이 있다. 종자는 구형이며, 지름 3-4mm이다.[2]분포
경기, 충남, 경남, 전북, 전남, 제주[2] 일본, 중국; 아열대 내지 온대 지역[2]생태
개화기: 4-5월[2]이용및활용
정원수로 심으며, 열매를 약용한다.[3]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2]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생물지발간연구(2017)
[3]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