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 DC.

큐알코드샘플이미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인식해주세요.

QR코드 다운로드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목련강) > Rosidae(장미아강) > Sapindales(무환자나무목) > Staphyleaceae(고추나무과) > Staphylea(고추나무속)
  • 분류군: 관속식물
  • 국가지정: 없음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652건 / 표본 3,128건 / 유전자원 237건 / 유전정보 40건 / 그외 13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높지 않은 산지의 숲 가장자리, 경사 지대, 산골짝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3~5m이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4~8cm, 폭 2~5cm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길이 5~8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꽃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이다. 암술은 1개, 암술머리는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부푼 반원형, 9~10월에 익는다. 열매가 발달함에 따라 풍선처럼 부풀어 위쪽이 2조각으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는 중국과 일본 등에 분포한다. 고추나무는 잎은 마주나며, 잎몸은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1회 깃꼴로 갈려 여러 쌍의 작은 겹잎을 갖는 말오줌때와 구별된다. 잎이 고춧잎을 닮아서 우리말 이름이 붙여졌다.[1]

형태

낙엽 떨기나무로 높이 3-5m이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꽃은 5-6월에 길이 5-8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꽃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이다. 암술은 1개, 암술머리는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부푼 반원형, 위쪽이 2조각으로 갈라진다.[2] 관목으로, 키 1.5-4m이다. 수피는 회갈색 또는 암적색이다. 가지는 녹색을 띠는 백색으로, 퍼져 자라고, 원통형이다. 엽병은 길이 1.5-3cm이다. 소엽은 3장이며, 중앙 소엽의 소엽병은 길이 0.5-1cm이고, 측소엽의 소엽병은 거의 없다. 소엽의 엽신은 타원형,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2.5-6×1.5-3cm, 엽선은 점첨두, 엽저는 설저 또는 원저, 엽연은 소예거치연이고, 양면에는 털이 있거나 없다. 화서는 원추화서이며, 직립하고, 5-15개의 꽃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4-9cm이다. 악편은 녹색을 띠는 백색이고, 선상 장타원형이며, 길이 6-8mm, 둔두이다. 화판은 백색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악편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화판과 길이가 비슷하고, 심피는 2 또는 3개이며, 화주는 이생 또는 합생한다. 삭과는 약간 부풀고, 길이 2-3cm, 2 또는 3실이다. 종자는 황색으로, 도란형이며, 길이 약 5mm이고, 광택이 난다.[3]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3~5m이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길이 4~8cm, 폭 2~5cm,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길이 5~8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꽃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이다. 암술은 1개, 암술머리는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9~10월에 익고 부푼 반원형, 위쪽이 2조각으로 갈라진다.[4]

분포

전국[2] 일본, 중국; 온대 지역[3]

생태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토양이 습기가 있는 곳에 흔히 자란다.[4]

이용및활용

어린잎을 식용한다.[4]

해설

관상수, 식용, 약용으로 이용 가능한 생물자원이기 때문에 해외반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2] 삭과의 열매는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매가 발달함에 따라 풍선처럼 부푼다. 독특하게 생긴 열매의 형태로 인해 정원수로 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고추나무속 식물은 1종뿐이며, 부푼 반원형의 열매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잎은 작은 잎 3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서 가지과의 ‘고추’ 잎을 닮아서 우리말 이름이 붙여졌다.
고추나무속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13종이 있고 주로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하는데 중국에 8종이 있다. 유럽에 2종, 미국 캘리포니아에 1종, 북아메리카 동부에 널리 분포하는 1종, 멕시코에 1종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종들이 아시아 지역의 종들에서부터 유래했는지, 언제 어떤 경로로 이동, 전파되었는지 등, 고추나무속은 북반구 식물지리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좋은 분류군이나 아직 자세히 연구된 적이 없다.[4]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
[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6)
[3]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생물지발간연구(2017)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647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1건 연계 조회
  • 제주특별자치도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1,764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식물표본관 총 314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278건 연계 조회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278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125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156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5건 연계 조회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3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약초원 총 2건 연계 조회
  •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총 2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4건 연계 조회
  • 영남대학교 생물다양성센터 총 3건 연계 조회
  • 성신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총 1건 연계 조회
  •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총 1건 연계 조회
  • 연구소재은행 총 29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3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652건
  • 표본3,125건
  • 생체83건
  • DNA13건
  • 종자40건
  • 배양체0건
  • 천연물4건
  • 파생물14건
  • 세포주4건
  • 개체0건
  • 체액10건
  • 핵산서열정보40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