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없으며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는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온다. 잎은 심장형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5∼10cm, 폭 6∼11cm이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8∼21cm로 털이 있다. 6~7월에 흰색이나 연한 자주색 꽃이 피며, 꽃받침잎은 털이 없다. 땅속에 폐쇄화가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자주색 무늬가 있다. 우리나라 지리산, 오대산 이북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얼핏 보기에 고깔제비꽃 비슷하지만 꽃이 희고, 땅속줄기가 있는 것이 다르다. 금강제비꽃이란 국명은 금강산에서 처음 알려진 데서 유래한다. 전초를 약용한다.[1]형태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여러 장이 나며, 둥근 심장형, 길이 7-10cm, 너비 6-11cm이다. 잎이 나올 때 양쪽 가장자리가 세로로 말려 잎과 자루가 수직을 이루고, 꽃이 진 다음 매우 크게 자란다. 꽃은 흰색, 큰 편이다. 폐쇄화는 땅속에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겉에 자주색 무늬가 있다.[2]분포
지리산, 오대산 이북[3]생태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7월에 핀다.[3]이용및활용
전초를 약용한다.[4]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2]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2022년)
[3]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2010)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