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개버무리Clematis serratifolia Rehder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저지대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 길이 3~5cm, 폭 1~3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 지름 5~6cm이다. 꽃자루는 아래쪽에 꽃싸개잎이 2장 있으며, 10~14cm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이고, 좁은 난형, 길이 2~3cm, 폭 1cm쯤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 길이 2.5mm쯤, 흰색 깃털 모양으로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4.5~5cm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국내에 분포하는 으아리속 식물들에 비해서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된다.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자원이며, 품종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1]형태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 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지름 5∼6cm,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다.[2]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지름 5~6cm,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다.[3] 어린 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 길이 3~5cm, 폭 1~3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 지름 5~6cm이다. 꽃자루는 아래쪽에 포엽이 2장 있으며, 10~14cm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이고, 좁은 난형, 길이 2~3cm, 폭 1cm쯤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 길이 2.5mm쯤, 흰색 깃털 모양으로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4.5~5cm이다.[4]분포
강원, 충북, 경북, 북부지방[2]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북부지방[3] 강원도 및 충청북도 이북[4] 만주, 우수리[3] 러시아, 일본, 중국[4]생태
낙엽 덩굴나무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4]해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지정 사유: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자원이며, 분포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어 품종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2]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자원이며, 분포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어 품종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으므로 국외 반출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3] 국내에 분포하는 으아리속(Clematis) 식물들에 비해서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되며, 저지대에 비교적 드물게 자란다.[4]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2)
[3]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1)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