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개버무리Clematis serratifolia Rehder

큐알코드샘플이미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인식해주세요.

QR코드 다운로드

  •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목련강) > Magnoliidae(목련아강) > Ranunculales(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 Clematis(으아리속)
  • 분류군: 관속식물
  • 국가지정: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15건 / 표본 199건 / 유전자원 76건 / 유전정보 3건 / 그외 1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저지대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 길이 3~5cm, 폭 1~3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 지름 5~6cm이다. 꽃자루는 아래쪽에 꽃싸개잎이 2장 있으며, 10~14cm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이고, 좁은 난형, 길이 2~3cm, 폭 1cm쯤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 길이 2.5mm쯤, 흰색 깃털 모양으로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4.5~5cm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국내에 분포하는 으아리속 식물들에 비해서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된다.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자원이며, 품종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1]

형태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 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지름 5∼6cm,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다.[2] 낙엽 덩굴나무이다. 어린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지름 5~6cm,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다.[3] 어린 가지에 털이 조금 난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난형 또는 피침형, 길이 3~5cm, 폭 1~3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 지름 5~6cm이다. 꽃자루는 아래쪽에 포엽이 2장 있으며, 10~14cm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이고, 좁은 난형, 길이 2~3cm, 폭 1cm쯤이다. 열매는 수과, 난형, 길이 2.5mm쯤, 흰색 깃털 모양으로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4.5~5cm이다.[4]

분포

강원, 충북, 경북, 북부지방[2]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북부지방[3] 강원도 및 충청북도 이북[4] 만주, 우수리[3] 러시아, 일본, 중국[4]

생태

낙엽 덩굴나무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4]

해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지정 사유: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자원이며, 분포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어 품종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2]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자원이며, 분포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어 품종개량 시에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으므로 국외 반출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3] 국내에 분포하는 으아리속(Clematis) 식물들에 비해서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되며, 저지대에 비교적 드물게 자란다.[4]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
[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2)
[3]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1)
[4]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1)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11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127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29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식물표본관 총 13건 연계 조회
  •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총 6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4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62건 연계 조회
  • 천리포 수목원 총 4건 연계 조회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2건 연계 조회
  • 기청산 식물원 총 4건 연계 조회
  • 신구대학교 식물원 총 3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고려대학교 생물자원센터 총 3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5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15건
  • 표본195건
  • 생체17건
  • DNA1건
  • 종자25건
  • 배양체0건
  • 천연물2건
  • 파생물1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11건
  • 핵산서열정보3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