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구실사리Selaginella rossii (Baker) Warb.

큐알코드샘플이미지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인식해주세요.

QR코드 다운로드

  • 분류체계: Plantae > Pteridophyta(양치식물문) > Lycopodiopsida(석송강) > Selaginellales(부처손목) > Selaginellaceae(부처손과) > Selaginella(부처손속)
  • 분류군: 관속식물
  • 국가지정: 없음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112건 / 표본 555건 / 유전자원 36건 / 유전정보 1건 / 그외 1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부처손목 부처손과에 속하는 북방계 양치식물이다. 산지 숲속의 바위 겉에 여러해살이풀로 붙어 자라는 상록성이다. 줄기는 땅에 붙어 짧게 기고, 철사 모양으로 억세며, 붉은 갈색을 띠고, 가지가 갈라져서 방석처럼 된다. 잎은 4줄로 배열하는데, 원줄기에는 드문드문 나고 가지에는 빽빽하게 난다. 가지에 붙는 잎은 긴 난형,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고, 가지에서 퍼지는 잎은 난형이다. 포자낭 이삭은 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네모지며, 자루가 없다. 포자잎은 삼각상으로 배처럼 양쪽 가장자리가 말리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포자는 7~9월에 익는다. 왜구실사리에 비해 포자낭이삭은 기둥 모양으로 가지 끝에 달리며, 포자낭이 달리는 가지는 곧게 서지 않으므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바위비늘이끼, 구슬사리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1]

형태

줄기는 땅에 붙어 자라며, 붉은 갈색을 띠고, 가지가 갈라져서 방석처럼 된다. 잎은 4줄로 배열하는데, 원줄기에는 드문드문 나고 가지에는 빽빽하게 난다. 가지에 붙는 잎은 긴 난형,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고, 가지에서 퍼지는 잎은 난형이다. 포자낭이삭은 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네모지며, 자루가 없다. 포자잎은 삼각상으로 배처럼 양쪽 가장자리가 말리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2]

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2] 러시아(우수리), 중국(동북부)[2]

생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포자는 7~9월에 익는다.[2]

이용및활용

관상용[2]

해설

왜구실사리(S. helvetica (L.) Link)에 비해 포자낭이삭은 기둥 모양으로 가지 끝에 달리며, 포자낭이 달리는 가지는 곧게 서지 않는다.[2]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2016)
[2]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1)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생태원 총 106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 제주특별자치도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344건 연계 조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총 41건 연계 조회
  •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총 41건 연계 조회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37건 연계 조회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총 28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18건 연계 조회
  • 천리포 수목원 총 4건 연계 조회
  • 국립중앙과학관 총 9건 연계 조회
  • 기청산 식물원 총 3건 연계 조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총 1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연구소재은행 총 1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4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112건
  • 표본555건
  • 생체10건
  • DNA2건
  • 종자2건
  • 배양체0건
  • 천연물0건
  • 파생물1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8건
  • 핵산서열정보1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