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사슴Cervus elaphus Linnaeus, 1758
-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척삭동물문) > Mammalia(포유동물강) > Artiodactyla(우제목) > Cervidae(사슴과) > Cervus(사슴속)
- 분류군: 포유류
- 국가지정: 수출ㆍ수입등 허가대상 야생동물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6건 /
표본 0건 /
유전자원 0건 /
유전정보 0건 /
그외 0건
개요
몸길이 187cm, 어깨높이 124cm, 꼬리길이 12cm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슴 종류 가운데 제일 큰 종류이다. 인가에서 멀리 떨어진 밀림 속에 산다. 번식기는 9월 초순에서 10월 초순까지이다. 여름털은 몸의 등 쪽과 다리의 바깥쪽은 창회색(蒼灰色)이다. 겨울털은 등 쪽은 회갈색이나 엉덩이 반점은 등황색이고 갈기는 검은빛을 띤 색으로 털끝은 흑색이다. 수컷은 교미 시기에 말 수컷과 같이 머리를 땅에 늘어뜨리고 산림 여기저기를 뛰어 다니며 암컷의 발자국을 찾아 따라간다. 이 시기에는 말과 비슷하게 소리 지르며 암컷을 부른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분포한다.[1]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1)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환경과학원 총 2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연계자료 통계
- 생물종정보6건
- 표본0건
- 생체0건
- DNA0건
- 종자0건
- 배양체0건
- 천연물0건
- 파생물0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0건
- 핵산서열정보0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1건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
어휘 |
뜻풀이 |
의미관계 |
생물 분류군 정보 |
1 |
말사슴 |
‘백두산사슴001’의 북한어. ... |
|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