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당나귀하늘소Eumecocera impustulata (Motschulsky, 1860)
-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절지동물문) > Hexapoda(육각아문) > Insecta(곤충강) > Coleoptera(딱정벌레목) > Polyphaga(풍뎅이아목) > Cucujiformia(머리대장하목) > Chrysomeloidea(잎벌레상과) > Cerambycidae(하늘소과) > Lamiinae(목하늘소아과) > Saperdini(긴하늘소족) > Eumecocera(당나귀하늘소속)
- 분류군: 곤충류
- 국가지정: 없음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18건 / 표본 135건 / 유전자원 7건 / 유전정보 0건 / 그외 0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전국에 분포하는 하늘소로 성충은 주로 5월부터 6월까지 활동하며 각종 활엽수 고사목에서 관찰된다. 유충은 각종 활엽수 고사목을 가해한다. 성충의 몸길이는 8~11mm이다. 전체적으로 회색 또는 황색을 띠고 있다. 몸은 기다랗고, 딱지날개는 거의 평행하며, 끝을 향해 가늘어진다. 딱지날개는 회색 또는 황색이며 테두리만 검정색이다. 앞가슴등판의 윗면은 회색 또는 황색이며 한 쌍의 짙은 검정색 세로 줄무늬가 있다. 앞가슴등판의 측면에도 한 쌍의 짙은 검정색 줄무늬가 있으며, 측면의 굴곡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더듬이는 몸길이의 1.3배 정도이다. 국외에는 러시아, 중국, 일본, 몽골에 분포한다.[1]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8~11mm이다. 전체적으로 기다랗고, 체색은 회색 또는 황색을 띤다. 개체에 따라 색 변이가 다양하다.[1]분포
전 지역[1] 러시아, 중국, 일본, 몽골[1]생태
성충은 주로 5월부터 6월까지 활동하며, 각종 활엽수 고사목에서 관찰된다. 유충은 각종 활엽수 고사목의 수피 아래부분을 가해하며 같은 자리에 번데기방을 만든다.[1]해설
한국, 러시아, 중국, 일본, 몽골에 분포하는 종이다. 국내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1]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