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봉뽕나무버섯Armillaria gallica Marxm. & Romagn. 1987
- 분류체계: Fungi > Basidiomycota(담자균문) > Agaricomycetes(주름버섯강) > Agaricales(주름버섯목) > Physalacriaceae(뽕나무버섯과) > Armillaria(뽕나무버섯속)
- 분류군: 균류
- 국가지정: 없음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1건 /
표본 35건 /
유전자원 5건 /
유전정보 0건 /
그외 0건
개요
활엽수림과 혼효림에서 산생한다. 갓은 지름 4.0-6.0cm로,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담갈색에서 황갈색이며, 갈색의 부드러운 섬유상 인편으로 덮여 있으나 이는 쉽게 탈락한다. 주름살은 담갈색이며, 주름의 폭은 성기고, 내린형이다. 대의 크기는 5.0-8.0×1.0-1.5cm이다. 기부는 곤봉형이며, 담갈색 바탕에 황색을 띤다. 턱받이는 흰색에서 담황색을 띠며 후에 소실된다. 포자는 타원형으로, 평활하며, 크기는 7.5-10.0×5.0-7.0㎛이다. 전국에 분포하며, 세계적으로는 유럽 및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1]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2017)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8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한반도진균자원은행 총 27건 연계 조회
연계자료 통계
- 생물종정보1건
- 표본35건
- 생체0건
- DNA4건
- 종자0건
- 배양체0건
- 천연물0건
- 파생물0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0건
- 핵산서열정보0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건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
어휘 |
뜻풀이 |
의미관계 |
생물 분류군 정보 |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