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그늘버섯Clitopilus prunulus (Scop.) P. Kumm. 1871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갓은 3~9cm의 중소형으로 원반구형에서 점점 평평하게 퍼지며 결국은 접시 모양 중앙이 오목해진다. 표면은 습할 때는 점성이 있다. 연한 쥐색~회백색이고, 미분상,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가장자리가 오래 안쪽으로 말린다. 살은 흰색, 유연하다. 주름살은 흰색이다가 연한 살색이 된다. 폭이 좁거나 보통이고,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며 심한 대에 내리붙음이 되어 깔때기 버섯류를 연상시킨다. 대는 2~5x0.5~1.5cm, 약간 편심성, 흰색~회백색, 속은 차 있다. 때때로 밑동이 가늘다. 포자는 타원형으로 세로로 6~8개의 골이 있다.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 숲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낙엽분해균이다.[1] 참나무 종류들로 이루어진 임지의 토양에 발생한다. 갓은 3~9cm로 둥근 산 모양이다가 점점 평평하게 펴지며 결국은 접시 모양이 된다. 갓 표면은 회백색으로 축축하면 끈적이고, 작은 가루로 덮여 있으며, 갓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감긴다. 색깔은 연한 쥐색~회백색이다. 조직은 흰색으로 연하다. 주름살은 내린형이고, 색깔은 흰색에서 연한 살색으로 변한다. 대는 약간 편심생(徧心生)이며 색깔은 흰색~회백색이고, 속은 차 있다. 포자는 타원형이다. 부생균으로 산림의 양분 순환에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한다. 북반구 일대에 널리 분포한다.[2]분포
전국에 분포[1] 북반구 일대[1]생태
낙엽분해균이다.[1]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물자원관(균류 100종)[2]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