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검은털끈적버섯Cortinarius nigrosquamosus Hongo 1969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갓은 40~80mm로 처음에는 평반구형이나 차차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황토색 바탕에 흑색의 바로 선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조직은 백색이나 상처가 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주름살은 완전붙은주름살로 약간 빽빽하다. 대는 40~90×6~14mm로 황토색 바탕에 흑색 인편이 있고, 기부는 팽대하여 곤봉상이다. 포자는 5.3~8.5×4~6μm로 유구형이고, 미세한 돌기가 있다. 가을에 침엽수림 내 땅 위에 발생한다. 식용 가능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1]형태
갓은 40~80mm로 반반구형~편평형이며 황토색 바탕에 흑색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갈회색~올리브갈색이며, 조직은 백색이나 상처시 흑변한다. 주름살은 완전붙은주름살로 약간 성글다. 대는 40~90×6~14mm로 황토색 바탕에 흑색인편이 있고, 기부는 팽대하여 곤봉상이다. 턱받이는 거미줄형이다. 포자는 5.3~8.5×4~6μm로 유구형이고, 사마귀상 돌기가 있다.[2]분포
경기도 치악산, 강원도 치악산, 충청남도 칠갑산, 전라남도 대흥사[2] 일본, 중국[2]생태
가을에 적송과 참나무 혼합림 내 지상에 발생하는 외생균근균(공생균)이다.[2]해설
식용가능버섯으로서 분포역이 한국, 일본으로 제한되고, 개체군 희소성으로 생물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다.[2]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1)[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