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검색
고동색우산버섯Amanita fulva (Schaeff.) Fr. 1815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림 내 땅 위나 초원에 단생 또는 산생한다. 유균은 달걀형이며, 갓은 지름 4~9cm로 처음에는 구형이나 차차 볼록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갈색~적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뚜렷한 방사상 흠선이 있고, 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 형이고, 약간 빽빽하고 백색이다. 대는 7~15×0.8~1.2cm로 위쪽이 약간 가늘며, 속은 비어 있다. 표면에는 때때로 담황갈색의 비단 모양 또는 솜털 모양 인편이 있다. 한반도 전역에 생육하며, 세계적으로는 북반구 일대에 분포한다.[1]형태
유균은 달걀형이며, 갓은 지름 4~9cm로 처음에는 구형이나 차차 볼록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갈색~적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뚜렷한 방사상 흠선이 있고, 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 형. 약간 빽빽하고 백색이다. 대는 7~15×0.8~1.2cm로 위쪽이 약간 가늘며, 속은 비어있다. 표면에는 때때로 담황갈색의 비단 모양 또는 솜털 모양의 인편이 있고, 기부에는 갓과 같은 색의 대주머니가 있다. 포자는 지름 9~12μm로 구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비아밀로이드이고 포자문은 백색이다.[2]분포
한반도 전역[2] 북반구 일대[2]해설
식용과 유용물질 추출 대상 균류로서 경제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원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2]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