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생물종 검색

생물종 검색

고동색우산버섯Amanita fulva (Schaeff.) Fr. 1815

  • 분류체계: Fungi > Basidiomycota(담자균문) > Agaricomycetes(주름버섯강) > Agaricales(주름버섯목) > Amanitaceae(광대버섯과) > Amanita(광대버섯속)
  • 분류군: 균류
  • 국가지정: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4건 / 표본 118건 / 유전자원 63건 / 유전정보 1건 / 그외 0건

분류군 정보더보기

개요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림 내 땅 위나 초원에 단생 또는 산생한다. 유균은 달걀형이며, 갓은 지름 4~9cm로 처음에는 구형이나 차차 볼록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갈색~적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뚜렷한 방사상 흠선이 있고, 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 형이고, 약간 빽빽하고 백색이다. 대는 7~15×0.8~1.2cm로 위쪽이 약간 가늘며, 속은 비어 있다. 표면에는 때때로 담황갈색의 비단 모양 또는 솜털 모양 인편이 있다. 한반도 전역에 생육하며, 세계적으로는 북반구 일대에 분포한다.[1]

형태

유균은 달걀형이며, 갓은 지름 4~9cm로 처음에는 구형이나 차차 볼록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갈색~적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뚜렷한 방사상 흠선이 있고, 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 형. 약간 빽빽하고 백색이다. 대는 7~15×0.8~1.2cm로 위쪽이 약간 가늘며, 속은 비어있다. 표면에는 때때로 담황갈색의 비단 모양 또는 솜털 모양의 인편이 있고, 기부에는 갓과 같은 색의 대주머니가 있다. 포자는 지름 9~12μm로 구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비아밀로이드이고 포자문은 백색이다.[2]

분포

한반도 전역[2] 북반구 일대[2]

해설

식용과 유용물질 추출 대상 균류로서 경제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원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2]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2] 국립생물자원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2009)

자원정보더보기

생물다양성

  • 국립생물자원관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공원관리공단 총 1건 연계 조회

표본정보

  • 국립생물자원관 총 54건 연계 조회
  • 서울대학교 한반도진균자원은행 총 38건 연계 조회
  •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농업과학원 총 23건 연계 조회

유전자원

  • 국립생물자원관 총 58건 연계 조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총 3건 연계 조회
  • 국립중앙과학관 총 1건 연계 조회
  • 연구소재은행 총 1건 연계 조회

유전정보

  • 산학연 총 1건 연계 조회

국가생물종목록

  • Classification System

연계자료 통계

  • 사진0건
  • 그림0건
  • 영상0건
  • 소리0건
  • 생물종정보4건
  • 표본118건
  • 생체44건
  • DNA2건
  • 종자1건
  • 배양체3건
  • 천연물0건
  • 파생물0건
  • 세포주0건
  • 개체0건
  • 체액0건
  • 핵산서열정보1건
  • 발현정보0건
  • 단백질서열정보0건
  • 구조정보0건
  • 학술정보
  • NCBI Pubmed0건
  • 전통지식0건
  • 특허정보

기타정보

표준국어대사전 0

표준국어대사전
번호 어휘 뜻풀이 의미관계 생물 분류군 정보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학술정보

NDSL눈문검색 0

논문/서적 학술정보
번호 제목 저자 제공기관 발행년도 조회
검색된 NDSL논문정보가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