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데이터 세트
메타 데이터 세트 - 공통정보
항목명 | 정의 | 예시 | 비고 |
---|---|---|---|
자원고유번호 (accession number) |
|
NIBR1234567890 | 필수 입력 |
학명 (scientific name) |
|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Bleeker, 1853) | 필수 입력 |
동종이명 (synonym) |
|
Chaeturichthys hexanema Bleeker 1853 | |
일반명 (common name) |
|
Pinkgray goby; Akahaze 등 | |
국명 (Korean name) |
|
도화망둑 등 | |
계통명 (line name) |
|
수원1호 등 | |
품종명 (variety name) |
|
통일벼 등 | |
분류체계 (taxonomy) |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Insecta(곤충강)> Lepidoptera(나비목) > Papilionidae(호랑나비과) > Papilio(호랑나비속); NCBI | |
기관명 (institution) |
|
국립생물자원관 | 필수 입력 |
대구분 (categoryⅠ) |
|
식물 | 필수 입력 |
중구분 (categoryⅡ) |
|
식물 | 필수 입력 |
부처(기관)별자원구분 (categoryⅢ) |
|
BAC, YAC, EST, GSS 등 | |
KTSN 번호 |
|
121000000001 | |
이미지URL (Image URL) |
|
||
상세정보URL (URL) |
|
필수 입력 |
생물자원 메타 데이터 세트 - 중구분(자원 종류)별 정보
자원 종류 | 항목명 | 정의 | 예시 |
---|---|---|---|
핵산서열정보 (nucleic acid sequence) |
분리원 (source) |
핵산서열정보를 제공한 자원을 분리한 근원 또는 기원(source or origin) | kidney 등 |
분자타입 (molecular type) |
|
mRNA 등 | |
데이터유형 (data type) |
|
EST 등 | |
핵산서열데이터 (sequence data) |
|
형매교배, 무작위교배 등 | |
발현정보 (expression) |
분리원 (source) |
발현정보를 제공한 자원을 분리한 근원 또는 기원(source or origin) | Human skin biopsy from psoriatic patient 등 |
데이터유형 (data type) |
|
Array-based data 등 | |
발현데이터 (sequence data) |
|
||
단백질서열정보 (protein sequence) |
분리원 (source) |
단백질서열정보를 제공한 자원을 근원 또는 기원(source or origin) | mouse liver 등 |
단백질이름 (protein name) |
단백질 이름 입력 | Neurotoxin 4 (Tf4) 등 | |
단백질서열데이터 (sequence data) |
|
||
구조정보 (structure) |
분리원 (source) |
구조정보를 제공한 자원을 분리한 근원 또는 기원(source or origin) | mouse lung 등 |
구조유형 (structure type) |
|
DNA structure 등 | |
구조데이터 (structure data) |
|
||
생체 (biospecimen) |
시료종류 | ||
저장장소 | |||
저장장소 일련번호 | 초처온냉동고, 액체질소탱크 일련번호 | ||
추출일자 | |||
DNA (DNA) |
저장장소 | ||
저장장소 일련번호 | 초처온냉동고, 액체질소탱크 일련번호 | ||
핵산종류 | |||
농도 | |||
순도 | |||
노트 | |||
종자 (seed) |
저장장소 | ||
저장장소 일련번호 | 초처온냉동고, 액체질소탱크 일련번호 | ||
실험결과 | |||
무게 | |||
함수량 | |||
노트 | |||
배양체 (embryoid body) |
배지명 | ||
배양조건 C | |||
배양조건 PH | |||
배양조건 빛 | |||
저장장소 | |||
계대일 | |||
계대시기 | 3, 6, 9, 12, 기타 | ||
노트 | |||
파생물 (derivative) |
건조방법 | 음, 양 | |
건조시간 | |||
건조온도 | |||
추출방법 | 초음파, 열탕, 기타 | ||
추출용매 | MeOH, EtOH | ||
추출부위 | 지장, 지하, 수피 | ||
노트 | |||
전통지식 (Traditional knowledge) |
지방명 | ||
생약명 | |||
자생지 | |||
용도 | |||
이용부위 | |||
키워드 | |||
이용방법 | |||
채취시기 및 형태 | |||
보관방법 | |||
정보습득경로 | |||
채록자 | |||
조사지 | |||
정보제공자 이름 | |||
정보제공자 성별 | |||
정보제공자 자택 | |||
정보제공자 핸드폰 | |||
등록일시 | |||
관찰 (observation) |
관찰위치 (observation locality) |
현지내(in-situ)상태에서 대상 생물종의 관찰 또는 서식지 정보 관련 GPS 좌표 | +37°28'14.18", +126°58'38.37" 등 |
표본 (specimen) |
형태적특징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채집 또는 포획한 현지외(ex-situ)상태의 대상 생물의 생김새, 색깔, 크기 등 형태적 설명 | 부리가 곧고 길다. 등에 흰색의 좁은 줄이 있다. |
채집지 (locality) |
|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일출봉 앞, +33°27'43", +126°56'10" 등 | |
개체 (individual) |
개체유형 (individual type) |
|
wild-type, non-wild-type 등 |
개체유지방법 (individual maintenance) |
계통을 계대하여 유지하는 방법을 자유기재 | 형매교배, 무작위교배 등 | |
기타 (et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