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활동 >

생물다양성연구·조사 >

국가생물다양성 관리·보전 연구

국가생물다양성 관리·보전 연구

국가생물다양성관리보전연구

국가차원의 생물자원 조사 발굴 및 기반연구를 수행하고 국내·외 생물표본, 유전자원 등을 확보·소장·관리하고 있습니다.

  • 자생생물 조사·발굴 및 한반도 생물지 발간연구
  • 국가생물종 목록 구축 및 확증표본 확보
  • 한반도 고유종 연구 및 고유생물자원 해외반출소장 현황분석
  • 생물자원 유전자 다양성 연구(바코드, 계통수, 종내·간 다양성 분석 등)
  • 야생동물 실태조사 및 이동경로 연구
    • 자생생물 조사·발굴
    • 자생생물 조사·발굴 관련 이미지입니다. 우리나라 해조류인 홍조류 신종 Callophyllis cartilaginea / 출처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권 4호 특별호 2014. 11.
    • 자생생물 조사·발굴

      전국적인 조사·연구를 통해(2006년 ~ 2018년) 총 14,961종의 신종 및 국내 미기록종 후보를 발굴하고 생물자원 106만점을 확보하였습니다. 본 사업을 통해 발굴한 신종 및 미기록종 후보는 다양한 학술지에 출판함으로써 전세계 학계에 공식적으로 자생 생물종을 알리고 있습니다.
    • 한국 생물지 발간
    • 한국 생물지 발간 관련 이미지입니다.
    • 생물지 국·영문 총 389권 발간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0년간 전문 연구진이 다양한 분류군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정리하여 생물지 국문 191권, 영문 196권 및 무척추동물모노그래프 2권을 발간하였습니다. 한국 생물지는 한반도 자생생물에 대한 학명, 국명, 분류, 생태, 분포, 서식지, 유용성 정보 등 포괄적인 정보를 집대성한 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국가 생물자원 인벤토리 구축
    • 국가 생물자원 인벤토리 관련 이미지입니다. / 국가생물종목록집
    • 국가생물종목록 구축

      한반도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현황을 파악하여 매년 국가생물종목록을 발표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이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를 종합하여 국내 최초로 자생생물의 명세를 과학적으로 정리한 분류군별 국가생물종목록집 34권을 발간하였으며, 2019년에는 전체 생물종 목록을 수록한 ‘국가생물종목록’을 발간하였습니다. 또한, 2012년부터 북한지역 분류군별 생물종목록집도 총 4권도 발간하였습니다.
    • 한반도 고유종 특성 평가 및 총람 발간
    • 한반도 고유종 특성 평가 및 총람 발간 관련 이미지입니다. / 한국 고유종인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 한국 고유종인 모데미플 (Mergaleanthis saniculifolia)

      한반도 고유종은 한반도에만 국한되어 자연적으로 분포·서식하는 생물종을 의미하며, 세계적으로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생물자원으로서 국가 생물주권 확립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08년부터 ‘한반도 고유종 특성평가 및 총람발간’ 사업을 수행하여, 2018년까지 한국 고유종을 2,289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한반도 고유종의 보전과 관리에 힘쓰고 있습니다.
    • 고유생물자원 해외 반출소장 현황 분석
    • 고유생물자원 해외 반출소장 현황 분석 관련 이미지입니다.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식물원에 식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고유종
    • 러시아코마로프식물연구소소장 기준표본(Orobanche mongolica ; Lectotype) 및 코카사스 지역 공동조사

      2008년부터 해외로 반출된 한반도 생물자원의 표본 소장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해외 12개국 32개 기관을 대상으로 방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한반도산 기준표본 및 일반 표본의 목록, 채집정보 및 화상자료 총 5.1만여 점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우리 고유식물자원의 근연종에 대한 해외 현지 공동조사 등을 통하여 해외전문가와 지속적인 연구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자생 생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
    • 자생 생물자원의 유전자 다양성 연구 관련 이미지입니다. / 유전체 지도 작성
    • 유전체 지도 작성

      우리나라 자생생물의 주권을 주장하고 주요 생물종의 보전·복원을 위한 유전적 근거를 제시하며 야생 생물자원을 생물산업에 활용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자생 생물자원의 소기관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고 개체군 간 유전자 다양성 분석에 필요한 유전자 마커(microsatellite) 등을 개발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의 보전유전학 연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한반도 주요 생물군 계통수 작성
    • 한반도 주요 생물군 계통수 작성 관련 이미지입니다.
    • 한반도 고유종 및 자생종과 주변국 서식 생물종간의 계통유연관계 분석

      한반도 자생생물의 형태 및 유전정보 확보 및 분석을 수행하여 한반도 고유종 및 자생종과 주변국 서식 생물종간의 계통유연관계를 파악합니다. 한반도 생물자원의 계통학적 정보는 한반도 자생생물자원 기원을 밝히고, 이를 통해 생물자원 보전 방안 마련 및 이용가능한 유용생물자원의 범위 확장하는데 있어 과학적 근거로 제시됩니다.
    • 야생생물자원 DNA 바코드 시스템 구축
    • 야생생물자원 DNA 바코드 시스템 구축 관련 이미지입니다.
    • 자생생물의 특정 유전정보 분석 및 DNA 바코드 표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생생물의 특정 유전정보를 분석하여 DNA 바코드 표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미동정 생물재료의 유전정보를 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종동정을 수행합니다. 한반도 자생생물자원의 DNA 바코드 정보는 국가 생물주권 주장, 생물산업계 소재종 동정 및 판별, 생물소재 오용·혼용 방지 등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됩니다.
    • 생물종 동정서비스 시스템 구축·운영
    • 생물종 동정서비스 시스템 구축·운영 관련 이미지입니다. / 이미지 기반의 동정서비스
    • 이미지 기반의 동정서비스

      생물동정이란 대상 생물 또는 표본에 속한 분류군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컴퓨터 기반의 생물종 동정 기술을 개발하여 자생생물의 정확한 동정과 이를 통한 생물자원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요 자생생물을 대상으로 동정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대화형 생물동정기술과 이미지 기반의 생물동정기술을 개발하여 ‘생활 속 곤충 찾기’ 모바일 앱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야생동물 첨단 연구사업
    • 야생동물  첨단 연구사업 관련 이미지입니다. / 무인카메라 설치 모습
    • 무인카메라 설치 모습

      국토환경의 변화, 첨단기술의 도입 등에 맞물려 야생동물 실태조사방법의 고도화가 필요하며, 2014년에는 시범적으로 무인카메라 조사기법을 적용하여 멸종위기야생생물, 외래종의 서식을 확인하였습니다. AI대응 철새 이동경로 및 도래실태 연구에서는 국가간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의 가락지 부착 및 인공위성 추적발신기(PTT) 등 첨단 기법을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는 전국 주요 습지를 대상으로 지역별 겨울철새 도래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국내에 도래하는 철새의 전체 종수와 개체수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실시되고 있습니다.

※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연구보고서 및 간행물은 '생물자원관 발간자료' 또는 '생물다양성 도서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