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

생물다양성협약(CBD) >

UN 생물다양성 10년 2011-2020

UN 생물다양성 10년 2011-2020

생물다양성 이해

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에는 다양한 생물이 숲, 습지, 바다, 사막 등에 살아가고 있으며, 이들 생물 각각은 자신만의 고유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종, 생태계, 유전자의 다양성을 생물다양성이라 합니다. 전세계에 약 1,400만종 이상의 생물이 사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수는 175만여종에 불과합니다(제1차 생물다양성 전망 보고서).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생물은 우리에게 식량, 연료, 산업자재, 의약품 등 우리 삶에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을 공급해 줍니다. 또한 생물은 토양, 공기, 물을 정화하여 주며, 산사태를 막아주는 등 환경조절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생물을 재료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이 급부상함에 따라 생물다양성이 국가 경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감소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로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1970년부터 2006년까지 지구상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31%가 사라졌습니다.이런 추세라면 해마다2만 5천 종에서 5만 종이 사라지고, 20년에서 30년 내에는 지구 전체 생물종의 25%가 멸종하게 됩니다.(제3차 생물다양성 전망 보고서)

생물다양성의 날, 5월 22일!

전 세계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로 지정해 기념합니다. 처음 이 날은 1994년에 열린 UN 제1차 생물다양성보전협약가입국 회의의 생물다양성보전협약 발효일인 1993년 12월 29일이었습니다. 그러다 2000년 브라질에서 열린 지구환경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협약 발표일인 1992년 5월 22일을 기념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생물다양성의 날은 2001년부터 5월 22일이 되었다고 합니다.

UN이 정한 ‘생물다양성 10년’

2011년부터 2020년은 UN이 정한 생물다양성 10년입니다. 우리는 앞으로 10년 동안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게 됩니다. UN 당사국들은 경제 활동을 하는데 있어 생물다양성이 주요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도록 장려하는 한편,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계획을 실행하고 논의하게 됩니다

생물다양성 10년 선포 배경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식 배경 및 목적

  • ‘세계 생물다양성의 해’인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 10차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국 총회에서 ‘ABS의정서’와 ‘생물다양성 2011년-2020년 전략계획을 채택하였습니다.
  • 이후 UN은 세계인들에게 조용한 쓰나미(silent tsunami)라고 불리는 생물다양성 감소에 의한 피해의 심각성을 알리는 한편 ‘생물다양성 2011년 -2020년 전략계획’의 구체적인 실행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 이를 배경으로 UNdms 지난해 12월 ‘2011년-2020년’을 ‘생물다양성 10년’으로 결정하고, 올해 세계 각국에서 ‘생물다양성 10년’의 선포를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이 CBD 193개 회원국 중 최초의 선포국이 되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날 사진 이미지입니다.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사진

VISION

  •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into the future"
  • 2050년까지 생물다양성은 귀중하게 보전, 회복, 현명하게 이용되어야 하며, 건강한 생태계와 지구를 유지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MISSION

  • “To take effective and urgent action to halt the loss of biodiversity..."
  •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멈추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시급히 취하여 2020년까지 생태계 서비스를 계속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고, 인류의 웰빙에 기여합니다.

생물다양성을 위한 2011-2020 전략 계획

  • 전략 목표A
    생물다양성이 정부와 사회전반의 주요 고려사항이 될 수 있도록 생물다양성 손실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 전략 목표B
    생물다양성 손실의 직접적 압박 요인들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장려
  • 전략 목표C
    생태계, 종, 유전 다양성을 보호하여 생물다양성을 개선
  • 전략 목표D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의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가도록 향상
  • 전략 목표E
    국가 또는 다양한 그룹의 참여적인 계획 수립과 지식 관리, 능력 배양을 통해 전략 계획 실행을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