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

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

비전·전략

비전·전략

비전과 목표

  • 장기비전(2050년)
    생물다양성 을 풍부하게 보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구현
  • 중기비전(2020년)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가치 제고를 통해 창조경제 견인

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보전

  • 다양한 동·식물종이 조화를 이루어 기후변화 등에 완충능을 갖춘 건전하고 활력 있는 생태계가 구축된 한반도
  • 인간도 하나의 생태계 구성원으로서 각종 생물의 번성터전을 제공하는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강화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구현

  • 근대화·산업화 이후 자연과 단절되었던 국민이 자연과 재연결 되어 심신의 안식과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대한민국
  • 국토 어디서든 생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자연으로부터 문화·건강의 원천을 마음껏 향유할 수 있는 대한민국
  • 생물이 인간에 줄 수 있는 유용한 가치를 새로운 기회요인으로 발굴하여 창조경제의 동력원이 되는 대한민국

전략

전략 1생물다양성의
주류화

국민 참여와 생태계에 유익한 재정의 확대, 국토·환경계획 연동 등 정부와 사회전반에 생물다양성을 반영

  • 생물다양성 정책의 추진 기반 강화
  • 국민의 인식 제고와 참여 활성화
  • 생물다양성에 유익한 재정 확대

전략 2생물다양성의
보전 강화

야생생물과 멸종위기종 보호, 생태우수지역의 보호지역 지정 확대, 유전다양성 보존을 통한 생물다양성의 손실 방지

  • 야생생물 보호·관리 강화
  • 멸종위기종 등 주요 생물과 서식지 보호
  • 보호지역 확대 및 효과적 관리
  • 유전다양성 연구 및 보전

전략 3생물다양성
위협요인 저감

외래생물 및 LMO” 관리 강화, 기후변화 적응 및 개발에 대한 영향 저감 등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요인 최소화

  • 외래생물과 LMO생물안전 확보
  •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생물다양성 보전체계 구축
  • 개발로 인한 생물다양성 영향저감과 생태복원

전략 4생태계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

역사·건강·생태가 살아 숨 쉬는 자연환경 조성으로 생태계 서비스의 새로운 가치 창출

  • 농업·수산·산림 생물다양성 증대
  • 생물자원 전통지식의 보전 및 활용
  • 생태계서비스 가치 확대

전략 5생물다양성 연구 및
관리 체계 구축

생물다양성 조사 및 정보화, 과학연구 기반 확충, 나고야의정서 이행 체계 확립 등 생물다양성 관리능력 제고

  • 생물다양성 조사, 평가 및 모니터링
  • 생물다양성의 과학적 관리능력 제고
  •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 공유 체제 구축

전략 6생물다양성
국제협력 강화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다양성 다자협력 지속 강화, CBD COP12 성공 개최 등 국제적 파트너십 강화

  •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남북협력사업 발굴
  • 생물다양성 국제협력의 활성화

[ 제 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안)]

비전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보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 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구현

목표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가치 제고를 통해 창조경제 견인

추진전략

  1. 전략1, 생물다양성의 주류화
  2. 전략2, 생물다양성의 보전강화
  3. 전략3, 생물다양성 위협요인 저감
  4. 전략4, 생태계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
  5. 전략5, 생물다양성 연구 및 관리 체계 구축
  6. 전략6, 생물다양성 국제 협력 강화

실천목표

  1. 전략1,
    • 생물다양성 정책의 추진 기반 강화
    • 국민의 인식 제고와 참여 활성화
    • 생물다양성에 유익한 재정 확대
  2. 전략2,
    • 야생생물 보호, 관리 강화
    • 멸종위기종등 주요 생물과 서식지 보호
    • 보호지역 확대 및 효과적 관리
    • 유전다양성 연구 및 보전
  3. 전략3,
    • 외래생물과 LMO생물안전 확보
    •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생물다양성 보전 체계구축
    • 개발로 인한 생물다양성 영향저감과 생태복원
  4. 전략4,
    • 농업, 수산, 산림 생물다양성 증대
    • 생물자원 전통지식의 보전 및 활용
    • 생태계서비스 가치 확대
  5. 전략5,
    • 생물다양성 조사, 평가 및 모니터링
    • 생물다양성의 과학적 관리능력 제고
    •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 공유 체제 구축
  6. 전략6,
    •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사업 발굴
    • 생물다양성 국제협력의 활성화

이행수단

  • 이해관계자 참여와 활성화를 통한 생물다양성 인식 제고
  • 접근과 이익 공유(ABS) 대응체제 구축 및 생물다양성 R&D 추진
  • 보호지역 확대, 국제협력 강화 등을 통한 글로벌 전략계획 이행

첨부파일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전문]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