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DB >

데이터표준 >

데이터베이스 개요

데이터베이스 개요

구축 배경

  • 나고야 의정서 채택(‘10.10.29)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12.2.1)
    •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구축·운영(제18조1항)
  • 생물자원의 보유 및 유출입 현황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 대한민국 생물자원에 대한 정보 표준화 및 체계적 관리 체계 마련

제10차 생물다양성 협약(CBD) 당사국 총회에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 :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10.10.29)되었습니다 . 본 의정서에 따르면 유전자원 접근 시 자원보유국의 사전승인(PIC : Prior Informed Consent)을 받고, 자원 이용으로 발생한 이익을 상호 합의조건(MAT : Mutually Agreed Terms)에 따라 자원 제공국과 공유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자국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 강화와 이익공유 의무화로 해외 생물자원 이용에 따른 추가 부담 발생 등이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생물주권 확보 및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생물자원의 보유 및 유출입 현황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국가 생물자원은 생물자원산업(의약, 화장품 등)의 원천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그간 소관 분야별 분산 관리에 따른 소재 파악 및 일관성 있는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생물자원에 대한 정보 표준화 및 체계적 관리를 통해 접근성 및 활용도를 제고할 필요가 발생하였습니다.

구축 방향

  • 생물주권 확보 기반으로서
    통합 DB 구축

    • 기 발굴된 자생생물 3만7천종 및 부처별 관리중인 생물자원을 일관된 체계 하에 DB화
    • 권리확보를 위한 서식지 명기 및 분류체계 일원화 등
  • 유전자 분석 및 생물자원정보
    연계를 통한 정보 가치 제고

    • 표본 등 실물자원 위주의 DB에 유전자 분석자료 등 파생정보 부가.연계를 통해 관련 연구 및 생물자원산업에의 활용도 제고
  • 수요자 접근성 향상

    • 생물자원 정보 표준화 및 관련 상세정보 링크를 통해 생물자원 정보에 대한 One-Stop 서비스 제공

목표 시스템 구성도

정보의 수집

  • 환경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미래창조과학부
  • 해양수산부
  • 산업통산자원부
  • 기타 국내·국외 기관

메타데이터DB(유전자원, 표본, 전동지식, 유전정보, 생물다양성정보)

  • 국가생물종목록
    (국립생물자원관)
  • NCBI
  • GBIF
  • ITIS
  • COL

분류체계DB

정보의 관리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메타데이터DB(유전자원, 표본, 전동지식, 유전정보, 생물다양성정보)
  • 분류체계DB
  • 메타데이터
    검색 서비스
  • 메타데이터
    오픈API 서비스

정보의 활용

  • 정부기관
  • 연구기관
  • 산업체
  • 국민
  • 해외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