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5
[전략 5] 이행력 증진기반 마련
전략 | 성과지표 | 현재상황(‘18) | 향후목표(‘23) |
---|---|---|---|
전략5. 이행력 증진기반 마련 | 생물다양성 관련 ODA 사업 비율 | 1.12% | 4.10% |
전통지식DB(국립생물자원관)에 누적된 데이터(구전·문헌)수 | 8.3만건 | 12만건 | |
생물다양성 연구과제 수 | 연구과제 60건/년(3차전략 기간 평균치 | 연구과제 85건/년(4차전략 기간 평균치) |
[세부과제 1] 생물다양성에 관한 국제협력 강화
국제협력체계 구축 및 이행
- 생물다양성협약(CBD) 이행 강화
- 생물다양성 분야 별 세부 이니셔티브를 사무국과 추진 확대
바이오브릿지 이니셔티브(BBI, 환경부), 평화와 생물다양성 다이얼로그(PBDI, 환경부), 코리아 바이오 안전성 역량강화 이니셔티브(KBCI, 산업부), 산림생태계 복원 이니셔티브(FERI산림청),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SOI, 해수부) 사업 운영 및 확대
- 생물다양성 분야 별 세부 이니셔티브를 사무국과 추진 확대
- 각 분야별 관련 국제협약 협력 강화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사무국(KBIF) 운영 및 확대
- 식량농업 관련 작물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위한 국제협력 추진
- 해외 생물자원 공동조사·협력체계 구축,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 관리․생물다양성․해양․산림보호 관련 협의체 참여
생물다양성 해외지원 추진
- 해외 자원부국 생물자원 정보화 지원사업 추진
(‘19) 생물자원 연구기관간 정보협력 체계 구축 → (‘20∼‘21) 동남아시아 국가 중심 정보화 지원 → (‘22) 사업대상 지역 확장
- 해양생물보전관련 교육리더 양성, 개도국 현장담당자 교육지원 사업(CBD-SOI 역량강화) 추진(~‘20)
남북 자연생태 협력체계 구축
- 자연환경 분야 남북 소통·협력 채널 확보 및 협력토대 마련
- 북한의 생태계 변화, 생물권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등 북한 자연 자원조사에 대한 연구지원(‘19~)
- 생물다양성이 우수한 DMZ 일원을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 추진(‘19)
- 금강산 생태환경자원 발굴을 위한 남북 공동조사 준비
[세부과제 2] 전통지식의 보전 및 활용 강화
전통지식 발굴 및 DB 구축
- 자생 생물자원의 구전 전통지식 발굴을 위한 탐색 및 조사
- 자생 생물자원 관련 구전‧고문헌 전통지식 발굴(’20), 전통지식 생물자원 총목록 구축(’21) 농업․농촌 전통지식 발굴 및 관리 체계 구축(~‘23), 고서 등 문헌 및 백두대간 산간마을 조사 등을 통한 산림전통지식 발굴
- 해양수산 전통지식발굴을 위한 유인도서, 어촌계, 전통시장 등 현장조사, 해양전통지식 정보체계 구축(~’23)
전통지식 확산·활용 방안 마련
- 전통지식 생물자원의 유용성 검증 및 활용
- 전통지식 생물자원의 유용성 검증(~’23), 전통지식 담수생물자원을 활용한 기술개발 연구 추진(~’23), 신소재 기능성 효능 및 생리활성 연구(~‘23) 등 전통지식 생물자원의 활용방안 마련
- 전통지식을 활용한 농산업 지역마케팅 활성화 및 신가치 창출
- 국내 전통지식 접근‧이용 및 이익공유에 관한 연구, 토산물 등을 활용한 지역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19~)
- 지속적인 전통마을숲 발굴 및 복원
- 경관/풍수, 환경조절, 문화/종교, 휴양/관광, 자연/생태 등 전통 마을 숲 기능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마을 숲으로 복원
역사·문화·전설·토착신앙 등 가치가 높은 경우 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
- 경관/풍수, 환경조절, 문화/종교, 휴양/관광, 자연/생태 등 전통 마을 숲 기능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마을 숲으로 복원
- 전통지식 관련생물의 천연물 추출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23)
[세부과제 3] 과학적 지식과 정책협력 강화
생물다양성 정보체계 구축
- 생태계별 기초조사 지속 수행
-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23), 국립공원 생물다양성 조사․평가, 산림생물다양성 통합정보 아카이브 구축,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22)
-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구축
-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연계 시스템* 운영(6개 부처 60여개 기관) 및 지자체‧유관부처 등 정부간 정보연계 강화(’18~)
생물다양성 정책기반 강화
- ‘국가생물다양성위원회’ 운영 활성화로 협력형 의사결정체계 확립
- 생물다양성 전문인력 양성사업 운영
- 미개척 생물분류군 및 생물다양성-경제학 전문가 양성사업 추진 (계속),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협약 대응 전문가 양성(‘19~)/li>
- 도서·연안 생물자원 보전·이용기술 개발 및 실용화와 산업화를 지원하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개관(‘20)
시민과학 모니터링 활용 확대
- 시민과학 모니터링 가이드라인 개발(’19), 전문가-NGO-지역주민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20), 시민제공 정보 수집 및 DB화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마련(‘21)
- ICT 및 시민과학을 활용한 장기생태모니터링 및 제5차 전국자연 환경조사(’19~‘23) 계획수립과 가이드라인 마련(‘19~)
- 습지조사 가이드라인 마련 및 민간전문단 구성(’19), 민간전문가 습지조사 시범사업(’20), 시민모니터링 운영 통합 관리 추진(’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