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CBD-CHM KOREA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KOREA)란 무엇인가요?
- 제8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06.3 브라질)에서 회원국들이 2010년까지 국가 단위의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learing-House Mechanism)를 구축하자는 전략 계획이 채택되었습니다.
- 또한, 제9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08.5 독일)에서는 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Clearing-House Mechanism)의 구축을 위해 회원국들이 단계적으로 CHM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CHM 이행전략을 수립하며, 생물다양성 관련 기관간 조정위원회를 구성하는 것 등을 권장하였습니다.
- 이에 따라, National CHM Focal Point인 환경부는 우리나라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정보(생태계, 생물종, 생물다양성 조사, 관련 법령, 주요 활동 등)를 제공하기 위해 CHM 웹사이트(CBD-CHM Korea)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learing-House Mechanism)란 광의로는 특정 국가의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를 이해관계자(정부부처, 연구기관, 대학, NGO 등)가 공유하는 협력체계이고, 협의로는 특정 국가의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설명·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의미합니다.
- CBD-CHM Korea는 생물다양성협약의 이행의 일환으로 구축된 것으로, 한 국가의 생물다양성 정보를 자국민이 공유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가간에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적을 수행하는 웹사이트입니다.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웹사이트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 National CHM은 특정 국가의 생물다양성 협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의미합니다.
- National CHM을 통해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활용하면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국들은 National CHM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웹사이트들 간에 정보 접근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National CHM 웹사이트는 정책결정자와 이해관계자가 생물다양성 협약상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국가의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담아야 합니다.
- 이러한 정보에는 매우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보통은 생물다양성 협약, 국가의 CHM 서비스, 국가의 기여, 당사자, 링크 등의 목록을 기본적으로 포함해야 합니다.
- National CHM 웹사이트는 웹사이트에 대한 기술적 요소만이 아니라, 콘텐츠를 공급하고 갱신하는 종합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