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HOME
l
CBD-CHM KOREA
l
ABS
주메뉴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생물다양성 통계
생물자원DB
국가생물종목록
국가지정관리종
생물종 검색
생물자원 통계
데이터표준
CITES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검색
생태자원DB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특정도서
야생생물보호구역
주요 활동
생물다양성연구·조사
법률
국립연구기관
생물다양성 관련 웹사이트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소식·자료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저작권 정책
전체메뉴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협약 개요
당사국총회(COP)
UN 생물다양성 10년 2011-2020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비전·전략
전략 1
전략 2
전략 3
전략 4
전략 5
전략 6
생물다양성 통계
국내 생물 종 통계
Catalogue of Life 통계
통계자료집
생물자원DB
국가생물종목록
국가지정관리종
생물종 검색
생물자원 통계
생물자원 통계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보유자원 현황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법정관리종 현황
데이터표준
데이터베이스 개요
메타 데이터 세트
자원 종류
CITES
서비스소개
종정보검색
수출입 관련 행정절차
관련부처 및 업무
자료실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검색
생태자원DB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특정도서
야생생물보호구역
주요 활동
생물다양성연구·조사
국가생물다양성 관리·보전 연구
생물산업 지원연구
국가생물자원 정보 관리 및 정책지원 연구
법률
국내 주요 법령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국립연구기관
국가생물다양성센터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생물다양성 관련 웹사이트
관련 학회
박물관/식물원
정보시스템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사업 소개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목록
분양·대여 문의
소식·자료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저작권 정책
전체메뉴
Open Nav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생물다양성 통계
생물자원DB
국가생물종목록
국가지정관리종
생물종 검색
생물자원 통계
데이터표준
CITES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검색
생태자원DB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특정도서
야생생물보호구역
주요 활동
생물다양성연구·조사
법률
국립연구기관
생물다양성 관련 웹사이트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소식·자료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저작권 정책
소식·자료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자원DB
생태자원DB
주요 활동
저작권 정책
>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소식·자료
>
생물다양성 뉴스
생물다양성 뉴스
게시글 검색
제목
내용
Total
833
Page
1
/ 84
제목
자생 무당개구리 세포로 호흡기 독성물질 알아낸다
작성일
2022. 1.26.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세포 활용 호흡기 질환 연구 기대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자생 무당개구리의 배아 섬모상피세포*로 호흡기 독성물질을 탐지할 수 있는 기법을 최근 개발했다고 밝혔다.* 섬모상피세포(cliated ep...
제목
세계적 희귀식물 날개골무꽃, 제주도에서 첫 발견
작성일
2022. 1.20.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에 포함된 희귀식물 서귀포에서 확인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지난해 한 해 동안 수행한 '미개척 생육지 대상 관속식물 탐색 발굴' 사업을 통해 제주도 서귀포에서 세계적인 희귀식물인 '날개골무꽃'...
제목
자생식물 47종 기준표본 103점 확보, 생물주권 강화
작성일
2022. 1. 7.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우리나라 고유 식물 30종 포함 자생식물 47종 기준표본 103점 확보해 우리나라 생물주권 연구에 활용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2012년부터 최근까지 약 10년 동안 외부 연구자들의 기증을 통해 우리나라...
제목
항산화물질 함량 높이는 섬기린초 재배 기술, 기업 제공
작성일
2021.12.23.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섬기린초의 항산화 물질 함량 높이는 최적 재배조건 기술 확보해 화장품 제조사에 제공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항산화물질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섬기린초 재배 기술을 최근 확보하고, 12월 23일 화장품 제조사인 ㈜아모레퍼시픽에 제공...
제목
고랑딱개비 등 독도 생물 12종 유전자분석, 신종 3종 발견
작성일
2021.12.10.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독도 무척추동물 12종 개체군에서 매우 높은 유전적 다양성 확인▷ 신종 후보종 3종 발견, 독도 자연 생태계의 안정성과 유전자원 가치 제고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고랑딱개비 등 독도 인근 바다에 사는 자생생물 12종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신...
제목
원격탐사 활용, 자생식물 관측으로 기후변화 연구 강화
작성일
2021.12. 8.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최근 20년간의 위성영상 자료 활용, 자생식물의 개엽시기는 빨라지고 낙엽시기는 늦어져 전체 생장 기간의 증가 양상 확인▷ 무인기 원격탐사를 이용한 식물 종·군락 분류 기법 개발 추진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위성영상 자료와 무인기(드론)를 ...
제목
국제적 멸종위기종 판별에 인공지능 기술 활용한다
작성일
2021.12. 2.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인력양성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을 생물 종 판별을 위한 기술 개발에 활용▷ 인공지능 기술로 국제적 멸종위기종 신속·정확하게 판별 기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5월부터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기반 생물자원 활용 ...
제목
멸종위기종 벌매, 관측이래 최대 8천여 마리 이동 확인
작성일
2021.11. 9.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올가을 소청도 맹금류 이동조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벌매 8,497마리 관측, 역대 최대 기록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가을 소청도(인천 옹진군 소재)에서 맹금류 이동조사를 수행한 결과,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멸종위기 야...
제목
전통지식 착안, 자생식물에서 호흡기 염증개선 물질 발견
작성일
2021.11. 4.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전통지식 11만건 통해 소나무·측백나무 호흡기질환 염증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유효물질 찾아내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전통지식을 활용하여 호흡기질환 유용 생물자원을 찾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자생식물인 소나무·측백나무에서 호...
제목
자생 방선균 활용해 식물 균핵병 유발 곰팡이 제거
작성일
2021.11. 2.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의 고질적 질병인 균핵병 곰팡이를 사멸시키는 자생 방선균 발견하고 특허 출원▷ 친환경 생물농약과 영양제로 활용 가능성 확인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식물의 고질적인 질병인 균핵병 유발 곰팡이를 사멸시키는 자생 방선균을 최근 발...
1
2
3
4
5
6
7
8
9
10